고위험 임산부 ICD-10 코드 완전 가이드
고위험 임산부의 경우 의료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진단코드가 잘 기입되어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임신 관련 ICD-10코드의 정보와 임산부와 남편이 참고할만한 팁을 정리해 보았으니 아래에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.
목차
1. ICD-10 코드란?
ICD-10 코드는 세계보건기구(WHO)가 만든 국제질병분류체계로, 전 세계 의료기관에서 질병과 건강 상태를 기록하는 표준 언어입니다.
병원 진단서나 진료비 영수증에 적혀 있는 알파벳+숫자 조합이 바로 ICD-10 코드입니다.
임신, 출산, 합병증 등 산부인과 진료 내용도 이 코드로 기록되며, 보험 청구·의무기록·통계·국제 진료 연계 등에 활용됩니다.
2. 고위험 임산부 ICD-10 코드의 구조
ICD-10 코드에서 임신 관련 질환은 O00~O99 범주에 해당합니다.
이 중 일부는 저위험 임신을, 일부는 고위험 임신을 나타냅니다.
예를 들어, 정상 임신 관리는 Z34로 시작하며, 고위험 임산부 O10~O16, O24, O42 등으로 표기됩니다.
3. 임산부가 자주 접하는 코드
정상 임신 관련 코드
- Z34.0: 정상 초산부 관리
- Z34.8: 정상 경산부 관리
→ 합병증이 없을 때 사용하는 코드입니다.
임신 초기 특이 상황
- O20.0: 위협유산
- O21.0: 임신 초기 구토(입덧 심한 경우)
→ 입덧, 유산 위험 시 코드가 다르게 부여됩니다.

4. 고위험 임산부 주요 ICD-10 코드 정리
O10~O16: 임신과 관련된 고혈압 질환
- O10: 기존(만성) 고혈압이 있는 상태에서 임신
- O11: 기존 고혈압 + 단백뇨 동반
- O12: 단백뇨만 있는 경우
- O13: 임신성(유도성) 고혈압
- O14: 전자간증(Preeclampsia)
- O15: 자간증(Eclampsia)
- O16: 상세불명의 임신 관련 고혈압
※TIP: 임신성 고혈압·전자간증은 태아 발달과 산모 건강 모두에 위험하므로, 주기적인 혈압 측정과 소변 검사 필수입니다.
O24: 임신성 당뇨병 및 기타 당대사 장애
- O24.4: 임신 중 발생한 당뇨병
- 산모는 혈당 관리, 태아는 거대아·조산 위험 증가.
- 식이조절, 혈당 모니터링, 필요 시 인슐린 투여.
O26.8: 임신 관련 기타 특정 질환
- 고혈압·당뇨 외의 특정 합병증 포함
- 예: 태아 성장 제한, 특정 혈액질환, 면역질환 등.
O42: 조기 양막파수(PPROM)
- 양막이 분만 전 터져 양수가 새는 상태
- 감염과 조산 위험이 커져 즉각적인 병원 방문 필요.
O60: 조산(Preterm Labor)
- 임신 37주 이전 출산
- 미숙아 건강 문제 가능성이 높아, 조기 진통 억제 치료 시행.
O72: 산후 출혈(Postpartum Hemorrhage)
- 출산 후 과다 출혈(500ml 이상)
- 산모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, 분만 후 집중 관찰 필수.

5. 왜 ICD-10 코드가 중요한가?
보험 청구와 서류 제출
건강보험·실손보험·출산휴가 서류에 ICD-10 코드가 기재됩니다.
코드가 잘못 기재되면 보험금 지급 지연, 서류 반려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또한, 고위험임산부의 경우 정부에서 제공되는 의료 관련 혜택을 신청할 때, 고위험 임산부 ICD-10코드가 기입된 진료기록을 제출해야 하므로 꼼꼼한 확인이 필요합니다.
의무기록·치료 계획
의료진은 ICD-10 코드를 통해 진료 내용을 정확히 공유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합니다.
혹시 병원을 옮기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, 이전 진료기록의 ICD-10 코드가 환자의 상황 파악에 도움이 됩니다.
국제 진료 연계
해외에서 진료 받게되는 상황이 발생한다면, ICD-10 코드로 과거 병력 파악이 가능해 치료가 원활합니다.
6. 고위험 임산부 ICD-10 코드 확인·관리 방법
병원에서 직접 확인
진단서, 영수증, 의무기록 사본에 코드가 표기됩니다.
궁금하면 의사나 간호사에게 “이 코드가 무엇인지” 반드시 물어보세요.
벙원에 물어보시는게 그 무엇보다 정확합니다.
온라인 검색 툴 활용하여 고위험 임산부 ICD-10코드 확인
구글, 다음 등 통합웹 검색이나 챗GTP를 통해서도 코드 의미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.
잘못된 코드 수정
코드 오류가 있으면 의료기관에 수정 요청 가능합니다.
보험 청구 시 진단서와 진료영수증 상의 코드가 다르면 처리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험 청구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7. 임산부와 남편을 위한 실전 팁
진료 시 질문 습관
- 이 코드가 어떤 질병을 의미하는지
- 보험 적용 여부
- 치료·관리 방법
서류 관리
- 모든 진단서·영수증을 사진 또는 PDF로 보관
- 출산 전후 보험 청구 시 활용
정기 검사와 기록 유지
- 고위험 코드가 부여된 경우, 정기적으로 검사 및 상담
- 혈압·혈당 기록은 보험 및 의료 활용도 높음
고위험 임산부 ICD-10 코드는 단순한 숫자와 알파벳이 아니라, 임산부와 태아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신호입니다.
특히 O10~O16, O24, O42, O60, O72와 같은 고위험 임산부 ICD-10코드가 있다면, 반드시 의료진과 상의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.
병원 업무도 사람이 하는 일이므로 실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자신이 정확한 코드를 알고 있으면 불필요한 서류 문제와 보험 지연을 예방할 수 있고, 무엇보다 심적으로 더 안심할 수 있을 것입니다.
나, 또는 아내의 진단코드를 정확히 알아보시고 보다 건강한 출산준비를 해보시길 바랍니다.
▶▷고위험 임산부 기준, 최신 정부 지원 정